三夜


 

  그렇지만 그 모든 것 가운데 진실이 얼마나 될까?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

 

 

 

 

 

  형언이란 얼마나 무의미한가. 미야 아츠무는 퍽 감상적인 생각을 했다. 언어는 항상 상황에 비해 조악할 수밖에 없었고 그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의 한계는 너무나도 뚜렷했다. 그럼에도 언어를 저버리지 못하는 것은 무엇이든 속박하고 싶어하는 인간의 본성에 있을 것이라고 그는 이어 생각했다. 간직하지 못해 안달이 난 것이 인간이고 붙잡아두지 못해 우는 것이 본성이었으며 미야 아츠무는 자신이 그 범주에 든 한낱 인간이라는 것을 굳이 부정하진 않았다. 명명하는 순간, 형언하는 때에 휘발되어 사라져버리는 것들은 사실 가장 중요한 것일지도 몰랐다. 하지만 아예 사라져버리는 것보다는 차라리 나아서 사람들은 계속해서 단어를 나열하고 이미지를 남기는 것인지도 몰랐다.

  감상의 원인은 전적으로 그에게 있었다. 다만 미야 아츠무는 그를 위한 문장을 쓸 재주도, 카메라 렌즈를 들이밀 기술도 없었기에 지켜보는 것으로 대강 만족을 하는 수밖에 없었다. 고작 삼일만에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지는 그로서도 알 길이 없었다. 그가 인지하고 있는 것이라곤 스가와라 코우시는 눈을 잡아챌만 한 사람은 아니라는 것, 그리고 그런 그에게 계속해서 눈길을 두고 있는 자신 뿐이었다. 스가와라 코우시는 형언하기가 어려운 사람이었다. 언어가 어디까지 그에게 미칠지도 문제였다. 알고 있는 형용사가 많지 않았고 또 그를 정의할 수 있는 하나의 단어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지도 의문이었다. 희지만 빛나지 않고 고요하지만 확연하며 단정하지만 묶여지지 않는 상태를 정의할 말을 미야 아츠무는 알지 못했다. 저 조악한 형용사의 나열 중 얼만큼이 그에게 해당하는 것인지도 확실치 않았다. 언제나 이미지는 진실했지만 또 거짓투성이였으므로.

  언어는 시인의 손에 들어가면 꽃이 된다던데 미야 아츠무는 시인도 원예사도 아니었다. 그래서 그는 표현하는 대신 묘사하기로 했다. 눈에 들어온 모습을 한치의 꾸밈 없이 아주 직관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그의 최선이었다. 우선 그는 얇은 커튼을 통과해 들어온 오전의 햇빛이 어울리는 사람이었다. 빛에 반사되는 게 아니라 흡수한다는 느낌. 그래서 빛나지 않는지도 몰랐다. 교수의 강의에 집중한 듯 고개를 끄덕임에 따라 얇고 힘이 세지 않은 머리카락이 흔들렸다. 옆자리에 앉았다면 샴푸 냄새를 맡을 수 있을지도 몰랐다. 왼쪽 뒷자리는 그를 바라보기엔 최적의 장소였다. 눈 아래 찍힌 점을 배제하고 그를 논할 수는 없었으니까. 그를 이루는 것들이 만들어질 때, 육체가 만들어지고 곧은 손가락 위에 손톱이 내려앉고 머리카락이 자라난 후 그 마침표로 찍어진 것일지도 모른다는 허무맹랑한 생각을 했다. 그정도로 그건 확연했고 맺어졌다는 느낌을 주었다. 긴 문장 끝의 점. 그다지 매초롬하지는 않지만 끝이 잘빠진 눈의 마침. 그 점은 그랬다.

  고개를 돌리려는 낌새가 보여 펴놓은 노트 위로 시선을 옮겼다. 눈이 마주친다면 언제나처럼 친절한 낯짝을 하고 우연인 체하며 웃으면 되는 일이었지만 그 얼굴을 할 수 있을 지가 작은 의문이었다. 확실치 못한 일은 하지 않는 게 나았고 그래서 고개를 숙였다. 스가와라 코우시가 정말 고개를 돌렸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이었다. 펜으로 교수의 말을 받아 적는 체를 하다가 다시 고개를 들었다. 스가와라 코우시의 시선은 다시 교수와 프로젝터로 띄운 PPT로 향해있었다. 그 올곧은 시선의 끝에 늙은 교수와 고루한 글자가 있다는 것은 낭비로 느껴졌다. 교수는 소포클레스에 대한 이야기로만 강의를 채우려는 것 같았다. 미야 아츠무는 턱을 괸 채로 펜을 굴렸다. 구름에 가렸던 해가 드러남과 거의 동시에 교수가 슬라이드를 바꾸었다. 피라미드 모양의 도형이 나오자 사각대는 소리가 크게 늘었다. 스가와라 코우시도 고개를 숙이고 필기에 전념했다. 뒷목의 머리칼이 끝나는 지점에서부터 볼록하게 솟은 뼈를 핥듯이 쳐다보았다. 결국 극이라는 건 상승과 하강의 조화입니다. 교수가 말했다. 상승과 하강이 만나는 곳을 우리는 정점이라고 칭하는데 이 정점이 어디가 될 지는 모릅니다. 극의 초반부일 수도, 정석적으로 중반일 수도 아예 끝에서야 나타날 수도 있어요. 스가와라 코우시는 고개를 들어 교수를 주시했고 미야 아츠무는 그런 스가와라 코우시를 주시했다. 이내 그는 깨끗한 노트 위로 선을 그었다. 끝없이 위를 향해가면 좋으련만 노트는 너무 작아서 선은 끊기거나 꺾일 수밖에 없었다. 모든 슬라이드가 넘어갔고 검은 화면이 나타나자 교수는 마이크를 떼었다. 수고하셨습니다. 스가와라 코우시는 가방으로 필통과 노트를 집어넣으며 나지막하게 말했다. 강의실 끝에 선 교수에게 닿을 수 없는 크기의 목소리였다. 뱉는다기 보다는 입안에서 맴도는 것을 내었다는 느낌. 스가와라 코우시 답다고 그는 생각했지만 누군가가 스가와라 코우시 다운 것이 무엇이냐 묻는다면 잘 대답할 자신은 없었다. 그는 크지 않게 말했고 배우가 되고 싶어 했었으며 오전의 햇빛을 목덜미에 얹고 다니는 사람이었다. 그에 대해 아는 것이라곤 그정도 뿐이었다

  느린 손으로 가방을 메며 뒷문을 나서는 등을 보았다. 노트 위로 그었던 선과는 달리 스가와라 코우시의 어깨는 아래를 향하고 있었다. 다음 수업까지도 그 등에 대한 생각은 사그라들지 않아서 미야 아츠무는 전공 교수의 질문에도, 몸이 좋지 않냐는 동기의 물음에도 제대로 대답하지 못했다. 저녁을 먹을 거냐는 물음에 고개를 젓고 방으로 들어가 침대에 눕고 나서도 그에 대한 잡념은 맺어지지 않고 오히려 더 증식해 천장과 책장의 빈 틈새와 창문 밖 검은 하늘을 가득 채웠다. 별 하나 보이지 않는 밤은 스가와라 코우시와 잘 어울릴지도 모르겠다고 미야 아츠무는 생각했다. 밤의 그에겐 달이 움직이는 소리가 시끄럽게 들릴지도 모르겠다고. 한참을 뒤척이던 그는 눈을 감고 햇빛이 묻어있던 스가와라 코우시의 목덜미를 떠올렸다. 곧게 아래로 뻗었다가 밑으로 흘러내리던 선을 더듬으며 그는 아주 오랜만에 수음했다. 욕망으로 점철된 손으로 어떤 일을 할지, 할 수 있을지 그는 알 수 없었다.






' > 십이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야스가] 십이야, 두 번째 밤  (0) 2017.06.18
[미야스가] 십이야, 첫 번째 밤  (0) 2017.06.09

+ Recent posts